금값 폭풍 질주! 온스당 3,000달러 돌파? 트럼프 시대 투자 전략과 관련 기업 분석
트럼프發 무역 전쟁 우려 속 금값 연일 최고치 경신… 추가 상승 여력은?
최근 금 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함께 불거진 글로벌 무역 전쟁 우려가 안전 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며 금값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금을 ‘트럼프 트레이드’의 최대 수혜주로 지목하며, 이러한 현상을 심층 분석했습니다.
금값, 트럼프 취임 후 7% 급등… 온스당 3,000달러 목표가 제시도
금 가격은 지난 13일 온스당 2,942.70달러까지 치솟으며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인 지난달 20일과 비교하면 무려 7%나 급등한 수치입니다. HSBC의 제임스 스틸 귀금속 애널리스트는 "무역이 위축되면 금이 상승한다"라며 과거 코로나19 팬데믹과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상황을 예로 들었습니다. 그는 "더 많은 관세가 부과될수록 세계 무역에 더 많은 혼란을 야기할 것이고 금 가격은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일부 투자은행들은 금 가격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UBS와 씨티그룹은 지난주 금 목표가를 온스당 3,000달러로 올려 잡으며 금 시장의 밝은 미래를 점쳤습니다.
달러, 국채, 비트코인은 약세… 트럼프 트레이드, 금만 독주하는 이유는?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 트레이드로 꼽히는 다른 자산들의 움직임입니다. 일반적으로 달러, 미국 국채, 비트코인 등도 트럼프 시대에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현재는 오히려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식에 대한 시장의 해석 변화에서 비롯됩니다.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의 우려보다 관세 부과를 점진적으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하며, 유로화처럼 수출 비중이 큰 국가의 통화 가치를 밀어 올리고 있습니다. 또한, 무역 전쟁이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국채 매입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우려… 금 투자 매력 더욱 높아져
자산운용사 RLAM의 트레버 그리샴 멀티에셋 책임자는 "금은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달러화 등에 대한 헤지가 될 수 있다"라며 금 투자의 매력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지난 1년 동안 금을 강력한 투자처로 만들었으며 중앙은행과 소비자 매수세가 금 가격을 끌어올렸다고 분석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글로벌 무역 전쟁이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금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 정련업체 MKS 팸프 "금은 '트럼프 관세 트레이드'… 상관 관계 뚜렷"
금 정련업체인 MKS 팸프의 니키 실스 애널리스트는 "금은 '트럼프 관세 트레이드'"라면서 "관세 부과와 금값 상승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금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뉴욕 금 비축량 급증… 중앙은행 금 매수세 지속
미국 대선 이후 뉴욕의 금 비축량은 116% 증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수입품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트레이더와 은행들은 실물 거래 허브로 꼽히는 런던에서 미국으로 금을 수송하고 있는 것입니다.
중앙은행들의 강력한 금 매수세는 올해도 금 수요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각국 중앙은행들은 2022~2024년 3년 연속 1000톤(t) 이상의 금을 매입했습니다.
금 관련 기업 정보
금 투자에 직접 참여하는 것 외에도 금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금 관련 기업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배릭 골드 (Barrick Gold Corporation): 세계 최대 금광 회사 중 하나로, 금 채굴 및 탐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뉴몬트 (Newmont Corporation): 또 다른 대형 금광 회사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금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MKS 팸프 (MKS PAMP GROUP): 금 정련 및 가공 분야의 선두 기업으로, 금괴, 금화, 주얼리 등 다양한 금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투자 전략 및 유의 사항
금은 변동성이 큰 자산이므로 투자 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자신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수준,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금 시장의 동향을 꾸준히 주시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따른 글로벌 무역 전쟁 우려 속에서 금은 강력한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우려,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 등 다양한 요인이 금 가격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개별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전략 등을 꼼꼼히 분석해야 합니다.
Disclaimer: 이 블로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하게 내리시기 바랍니다.
'투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분석] 영풍 vs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 탈법적 순환출자 논란' 5가지 핵심 쟁점과 투자 전략 (0) | 2025.02.21 |
---|---|
숨 고른 韓 증시, 코스피 8일 만에 하락 마감: 투자 전략 및 전망 (feat. KB증권) (2) | 2025.02.21 |
알리, 한국 이커머스 '꿀꺽'?! 에이블리 1,000억 투자 후폭풍 & 지마켓 합작법인 속내는? [전문가 분석] (1) | 2025.02.17 |
숨 한번에 95% 정확도? ETRI 폐암 조기진단 기술, 1000억 시장 뒤흔들까? 투자 분석 및 관련 기업 집중 조명 (0) | 2025.02.17 |
폐기물에서 '퀀텀 점프' 루비듐, 몸값 20% 폭등! 양자컴퓨터 핵심 소재로 투자 가치 급부상 (1) | 2025.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