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 경고에 재계 초긴급 대응! 최태원, 230조 투자 지키기 나선 이유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관세 폭탄' 우려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한국 재계가 전방위적인 대미 통상 외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이끄는 민간 경제사절단의 워싱턴DC 방문을 시작으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한국무역협회(무역협회)까지 발 벗고 나서며 총력전을 펼치는 모습입니다.
1. 최태원 회장, 20대 그룹 CEO와 워싱턴行: '투자 모범국' 입증 전략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2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로 구성된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19일부터 20일까지(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통상 관련 아웃리치 활동을 펼칩니다. 이번 방문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한국 민간 경제사절단의 첫 공식 방문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큽니다.
사절단에는 최태원 회장을 비롯해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김원경 삼성전자 사장, 유정준 SK온 부회장, 이형희 SK 수펙스 커뮤니케이션위원장, 성김 현대자동차 사장 등 26명이 참여했습니다. 자동차, 반도체 등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철강, 조선, 에너지, 플랫폼 등 한미 경제협력 핵심 산업 대표들이 대거 포함된 점이 눈에 띕니다.
대한상의는 이번 방문을 통해 한국이 트럼프 1기 '바이 아메리카' 약속을 적극 실천한 대미 투자의 모범 국가임을 강조할 계획입니다. 실제로 한국은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미국의 최대 그린필드 투자 국가로, 2017년 이후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분야 등에 1600억 달러(약 231조원)를 투자했습니다.
2. '한미 비즈니스의 밤' 갈라 디너 & 백악관 고위급 회담: 투자 확대 & 협력 강화
19일에는 미 의회 부속 도서관에서 개최되는 '한미 비즈니스의 밤' 갈라 디너에 사절단을 비롯해 미 상·하원, 주지사, 내각 주요 인사 등 150여명이 참석합니다. 이 자리에서 사절단은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확대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기업들의 투자가 이뤄지는 주 관계자와 개별 미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0일에는 미국 백악관에서 경제부처 고위 인사들과 만나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할 경제·산업 정책을 논의하고 한국 기업들의 실행 방안 등을 전달할 계획입니다. 논의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 조선 분야 협력
* 완성차 및 부품 제조 시설 투자
* 미국 차세대 원전 개발과 소형모듈원자로(SMR) 협력
*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
3. 한경협 & 무역협회, '투 트랙' 전략 가동: 투자 포럼 & '보텀 업' 외교
대한상의 외에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와 한국무역협회(무역협회) 역시 대미 통상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한경협은 한미 투자 협력을 위해 다음달 현지에서 한미투자포럼 개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포럼을 통해 미국 투자 유치와 한국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무역협회는 한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한 미국 주 정부 인사들과의 물밑 접촉을 통해 연방정부에 이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하는 '보텀 업'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윤진식 무역협회장과 임원 등 10여명이 다음달 미국 애리조나·텍사스·테네시주 등 남부 지역을 방문합니다. 또한, 5월에는 무역협회 회장단으로 구성된 사절단을 꾸려 워싱턴DC를 방문, 미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의 고위 당국자를 만날 계획입니다. 더불어 미국 해외투자 유치 행사인 '셀렉트USA 투자 서밋'에 참가해 상무부 인사들을 만나 한국 기업 입장도 전달할 방침입니다.
4. 투자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기업
이번 대미 경제 외교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대표적인 기업들입니다.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업들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삼성전자: 반도체 투자 확대 및 공급망 구축 관련 수혜 기대
* SK온: 미국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에너지 협력 강화 기대
* 현대자동차: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 및 투자 확대 기대
* HS효성: 미국 내 산업자재 및 화학 제품 투자 확대 기대
5. 결론: 위기 속 기회, 한국 경제의 미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가능성은 한국 경제에 큰 위협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계의 발 빠른 대응과 적극적인 투자 유치 노력은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는 단순한 경제적 협력을 넘어 양국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한국 재계의 대미 외교 활동과 투자 성과를 주목하며,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투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기아, 트럼프發 관세 폭탄 현실화?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4.3조 리스크 심층 분석 (0) | 2025.02.17 |
---|---|
脫 디스카운트? 韓 증시, 저가 매력 넘어선 펀더멘털 회복 시그널 (2) | 2025.02.17 |
몸값 39% 낮춘 2조 대어 귀환! 서울보증보험 코스피 상장 재도전, 투자 기회일까? (ft. 씨케이솔루션, 동국생명과학, 모티브링크 IPO 분석) (4) | 2025.02.16 |
메타 주가 736달러 돌파! AI 반도체 독립 선언, 엔비디아 아성 흔드나? - 투자 기회 분석 (3) | 2025.02.16 |
[월가 분석] 천연가스, 2주 만에 22% 급등! LNG 투자, 지금이 기회일까? (0) | 2025.02.16 |
댓글